-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무료대상, 제대로 알고 챙기세요!
자궁경부암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많은 분들이 왠지 모르게 긴장부터 하실 겁니다.
여성이라면 특히 더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죠. 하지만 다행인 건, 이 자궁경부암은 예방이 가능한 암이라는 사실입니다.
그것도 국가에서 지원하는 무료 예방접종을 통해서요!
그렇다면 누가, 언제, 어떻게 이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무료대상에 대해 아주 쉽게, 꼼꼼히 정리해 드릴게요.
왜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이 중요한가요?
자궁경부암은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암입니다.
HPV는 성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대부분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일부 유형은 자궁경부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내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자궁경부암은 조기 예방접종만으로 70% 이상 예방이 가능하다고 해요.
이 예방에 쓰이는 백신이 바로 '가다실', '서바릭스' 등의 HPV 백신이고요.
국가에서 무료로 접종해준다고요?
네, 맞습니다! 국가에서는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HPV 백신 무료 접종을 특정 대상에게 제공하고 있어요.
이름하여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인데요, 다음과 같은 분들이 무료 접종 대상자입니다.
✅ 2025년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무료대상 정리
1. 만 12세 ~ 만 17세 여성 청소년
- 출생연도 기준: 2007년생 ~ 2013년생
- 일반적인 학생이라면 대부분 해당되죠.
- 접종 백신: 가다실4가 또는 서바릭스
- 총 2~3회 접종 (나이에 따라 회차 다름)
- 정해진 연령에 접종을 완료해야 무료
2. 만 18세 ~ 만 26세 저소득층 여성
- 출생연도 기준: 1998년 ~ 2006년생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 해당해야 함
- 보건소에서 대상자 확인 후 접종 진행
- 반드시 3회 접종 모두 같은 백신으로 완료
무료접종은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
보건소 또는 지정 병의원에서 무료 접종을 받을 수 있어요.
가까운 보건소에 먼저 전화로 문의하거나,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nip.kdca.go.kr)에서 접종 가능 병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주의할 점은 꼭 접종 기간 내에 1차~3차 접종을 모두 마쳐야 무료 혜택이 유지된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1차 접종만 무료로 받고 2차를 늦게 맞으면 유료 전환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접종 스케줄을 잘 챙기세요!
접종,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HPV 백신은 자궁경부암뿐 아니라 생식기 사마귀, 항문암, 구강암 등 여러 HPV 관련 질환을 예방해줍니다.
특히 접종 시기가 빠를수록 예방 효과가 뛰어나죠.그래서 만 12세~13세 사이의 접종을 가장 권장하고, 아직 성 경험이 없는 시점에서 접종하면 90% 이상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
남성은 예방접종 대상이 아닌가요?
아쉽게도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에서는 남성에 대한 HPV 백신 무료 접종이 공식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아요.
하지만 HPV는 남성에게도 성병이나 두경부암, 항문암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15~26세 남성도 자비로 백신을 맞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트너의 건강까지 함께 고려한다면, 남성도 예방접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죠.이런 분들은 꼭 챙기세요!
- 딸이 올해 12~17세이고 아직 접종을 안 했다면?
👉 올해 안에 꼭 접종! 기회를 놓치면 유료로 전환됩니다.
- 만 18~26세인데,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이라면?
👉 보건소에 대상자 확인 후 접종 신청 가능
- 이미 1차 접종을 받았는데 나머지를 놓쳤다면?
👉 접종 간격을 확인하고 정해진 기한 내에 완료하세요.
부모님이 꼭 아셔야 할 것
대부분 학부모님들이 “성관계를 아직 안 했는데 예방접종이 필요할까?”라고 고민하시는데요,
HPV 백신은 성 경험이 없을 때 맞을수록 효과가 높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중학생 때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특히 최근에는 자궁경부암이 점점 더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하고 있어서, 조기 예방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어요.
끝으로, 놓치지 마세요!
우리 아이와 나 자신을 자궁경부암이라는 무서운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회, 그리고 그 기회를 국가에서 무료로 제공해 준다는 것, 정말 감사한 일이죠.
무료라고 대충 넘기지 마시고, 꼭 조건을 확인하고 접종 일정을 맞춰 정해진 시기에 맞도록 챙겨보세요.
우리의 건강은 예방에서 시작됩니다.'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른 유심 SIM 사용제한 기능 : 해제방법, 비밀번호, 대처방법 (0) 2025.05.07 허리디스크와 허리 협착증의 차이점? 똑같은 거 아니야? (0) 2025.05.06 SK유심보호서비스, 해외 로밍? 해외 유심 사용? 안전한 방법은? (1) 2025.05.04 비즈플레이 자동이체 등록문자? 개인정보? (0) 2025.05.03 가락몰 하늘공원에서 열리는 전국빵지자랑, 빵순이 필수코스! (0) 2025.05.02